728x90
분산되어 저장한다는 것은 탈중앙화를 의미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되는 분산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형태
분산처리와 암호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노드)에 저장 및 보관하는 기술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형태
블록들이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사슬(체인)'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특장점
- 분산저장 (기존거래방식은 데이터를 위,변조하기 위해서 중앙서버를 공격)
- 여러 명이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변조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노드)의 거래 데이터를 모두 공격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킹이 불가능
- 중앙관리자 불필요(중앙기관,관리자 없어도 다수가 데이터를 저장,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탈중앙화가 가능)
블록체인의 기술 활용
- 금융거래
- 개인의료정보
- 영상 또는 이미지, 콘텐츠
- 부동상
- 의료
- 인적자원
블록체인의 기술
- 해쉬(Hash) 함수를 사용
- 스마트계약을 활용
블록체인 동작원리
- 하나의 새로운 블록을 구성한 경우, 이전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블록체인의 맨끝에 이 새로운 블록을 연결
- 새로 구성한 블록의 이름에 해당하는 해시를 찾아내는 일(목표 값보다 작아야한다는 조건을 충족해야함.)
예시)목표 해시 값: 00ff32라고 가정
새로 만든 블록의 해시값: (블록생성에 실패)
새로 찾아낸 해시값: 00c3b1(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성공)
728x90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우분투 깃허브 연결 깃커밋, 푸시 / 해결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0) | 2021.12.31 |
---|---|
블록체인 만들기 (블록 연결하기) (0) | 2021.12.31 |
블록구성요소 / 블록 하나 생성하기 코드 (0) | 2021.12.31 |
해시,머클트리 Merkle tree 개념 (0) | 2021.12.30 |
우분투 vscode에서 수정안되는 이유 (0) |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