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ash

sha256

단방향 암호화, 자리수 64자리로 고정됨

 

해시함수 설명:

더보기

해시함수를 이용한다면 어떤 길이의 입력값이라도 256비트의 고정된 결과값을 출력할 것이고

입력값의 아주 일부만 변경되어도 전혀 다른 값이 출력되는 특징 때문에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해시함수는 입력된 값이 같을 경우 항상 같은 결과 값을 출력해야합니다.

https://steemit.com/kr/@yahweh87/2)

 

머클트리 Merkle tree, 머클 루트 Merkle root

데이터가 위변조 되었는지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됨

자바스크립트에서 merkletreejs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

https://blockone.tistory.com/11 -Merkle tree

더보기

출처 : https://blockone.tistory.com/11

머클트리 Merkle tree

해시트리 라고도 한다. 여러 블록으로 나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음  보증하는 용도로 쓰인다. 특히 p2p네트워크에서 전송받는 데이터에 오류가 있거나 외부로부터 조작이 있었는지 검증하는 용로도로 쓰인다.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에 포함된 거래 데이터를 요약해 트리 형태로 만들게 되는데 해시함수를 활용해 두개의 거래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묶음으로써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머클 루트 

블록에 들어있는 모든 거래내역을 요약한 데이터로 최소한의 정보로 인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개별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라이트노드)에 대해서는 중요한 데이터만 갖고 있게 한다. 외부에서 다른 블록의 거래내역을 조작하면 머클루트를 대조하여 비교하게 된다. 가장 밑단에 있는 거래를 제외한 나머지내역을 두개씩 짝지어 해시값을 얻고 또 그 해시끼리 짝지어 암호화하는 식이다. 이렇게 모든 거래 내역에 해시값을 얻는 과정을 거듭하여 나무 모형으로 만들면 머클트리가 된다. 결국 머클트리 그 자체가 해시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트랜잭션이 변조되면 머클루트까지 모든 값이 바뀌게 되는 쇄도효과가 일어난다.

 

 

합의 알고리즘

-작업증명Proof of Work

-지분증명 Proof of Stake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