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먼저 꿀팁을 나눠준 학우들에게 감사합니다..

 

박수 짝짝짝

 

평소하던데로 

깃허브에서 

레포지토리 만들고 

주소 복사한다음에

 

깃데스크탑에 들어와서 

요기서 깃클론하고

 

작업할 때 

오픈 비주얼 코드 누르고 

터미널 켜져 있으면 

그걸로 하고 아니면 새 터미널들어가서 켜고

 

 

아래 보면

터미널이 원래 cmd로 되어있을건데

 

이걸 우분투로 바꿔주면

 

짠 

다가려놔서 안보이겠지만

wsl 작업창이 됐고요

/mnt 경로가 cd

커밋도 잘되고요

 

 

 

 

 

 

/mnt 경로는 바로

mnt

mnt는 mount의 약자 뜻을 가진 경로. 리눅스 프로그램에 기기의 탈부착으로 임시로 연결된 경로가 생기면 해당 경로에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의 AWS에는 연결된 외부 장치나 시스템이 없으므로 아무런 경로가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의 용량을 확장할 때나 WSL에서 윈도우 시스템을 인식할 때 해당 경로로 인식할 수가 있습니다.

//WSL에서의 윈도우 인식
///mnt 경로
c d wsl

여기서 C는 Windows에서의 C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출처: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10-18-linux-file-directory-syste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