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난 시간,,,

https://stepby-yun.tistory.com/179

 

formData 이미지데이터 보내고 받기 (react,nodejs,header)

회원가입시 아이디 비번 프로필을 등록하려했다. id password는 넘겨주고 req.body.id로 받았는데 프로필은 formData 객체로 묶어서 그자체로 넘겨줬는데 자꾸 undefined 떴다. formData는 req.body가 안된다길

stepby-yun.tistory.com

formData 로 이미지 받는 걸 Header를 뒤늦게 추가해서 넣었다.

이제 mySQL 데이터베이스에 넣으려는데

아무것도 없고  BLOB만 달랑 저장됨

이미지 저장은 보통 BLOB로 한다고 해서 타입을 이렇게 넣었는데 

저렇게만 보이니 당황,, 

 

 

BLOB은 뭘까?

A Binary Large Object (BLOB) is a MySQL data type that can store binary data such as images, multimedia, and PDF files.

바이너리 데이터를 DB외부에 저장하기 위한 타입이다

"blob의 경우 4GB의 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건 DB에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DB에는 Large Object의 위치 포인터만 저장하게 됩니다."

그말은 즉, 컴퓨터가 인식하는 모든 파일(이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타입이라고 한다. 오 찾아보니까 볼 수 있긴하네

이렇게 확인할 수는 있구만 

 

 

하지만 BLOB보다는 URL자체로 저장을 선호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이 확장될 때 종종 성능병목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미지와 함께 로드하면 더 큰 병목현상이 발생한다고 함.

Many web app designers don't store images in database BLOBS, but rather store them in a file system, and store their URLs in database strings. Why? Database servers often become a performance bottleneck when an application scales up. If you load them with images, they'll become even bigger bottlenecks.

 

그럼 string문자열로 바꿔줘야지~

하고 string찾는데 없어 아 맞다 VAR이지하고 보다가

 

VARCHAR과 CHAR의 차이가 뭔가 궁금해졌다

VARCHAR은 '가변길이'

실질적인 데이터와 길이 정보도 같이 저장된다.

CHAR은 길이가 고정되어있어야한다. 남는 공간은 공백으로 채운다 공간낭비 발생!

VARCHAR is variable length, while CHAR is fixed length

https://petri.com/sql-server-string-data-types/

 

 

 

경로저장함

 

 

 

이제 id랑 password 도 함께 저장해봐야지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agnking&logNo=220950061851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lasksdud53&logNo=220595010315

 

 

728x90
728x90

 

//함수 참조
console.dir(add)
console.dir(sub)

https://www.howdy-mj.me/javascript/var-let-const/

에서 가져온 내용임.

 

https://medium.com/@ethannam/javascripts-memory-model-7c972cd2c239

변수 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함

 

자바스크립트는 개발자가 직접 메모리 제어못함

그저 변수를 통해 안전하게 값에 접근할 수 있음. 

 

변수에 값 저장하는 것  :  할당(assignment,대입,저장)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이는 것  :  참조(reference)

변수명을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알리는 것 : 선언(declaration)

 

변수 선언

var, const, let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 선언은 

선언 -> 초기화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선언단계: 변수명을 등록하여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변수의 존재를 알린다.
초기화 단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공간을 확보하고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할당해 초기화한다.

 

 

var kmj
console.log(kmj) // output: undefined

var 키워드를 이용한 변수 선언은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어, kmj에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할당해 초기화한다.

그런데 반대로, console을 먼저 찍어도 반환 값이 undefined로 나온다.

console.log(kmj) // output: undefined
var kmj

이는 변수 선언이 런타임에서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 단계에서 먼저 실행되기 때문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소스코드를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하기에 앞서,

변수 선언을 포함한 모든 선언문(ex. 변수 선언문, 함수 선언문 등)을 찾아내 먼저 실행한다.

즉, 변수 선언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이 다른 코드보다 먼저 실행되는 특징을 호이스팅(hoisting)이라 한다.

 

변수 선언 뿐만 아니라, var, 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모든 식별자(변수, 함수, 클래스 등)는 호이스팅이 된다.

 

 

변수 할당

변수에 값을 할당 할 때에는 할당 연산자(=)를 사용한다.

var kmj // 변수 선언
kmj = 'howdy-mj' // 값의 할당

var kmj = 'howdy-mj' // 변수 선언과 할당

변수 선언과 할당은 하나의 문(statement)으로 단축 표현할 수 있지만, 두 개의 실행 시점이 다르다.변수 선언이 호이스팅되어 런타임 이전에 실행되지만,

값의 할당은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런타임에 실행된다.

따라서 변수의 할당과 console을 실행하는 위치에 따라 반환되는 값이 다르다.

 

console.log(kmj) // output: undefined

var kmj = 'howdy-mj'
console.log(kmj) // output: howdy-mj

kmj라는 변수에 새로운 값을 재할당할 수도 있다.

console.log(kmj) // output: howdy-mj

kmj = 'mj' //재할당
console.log(kmj) // output: mj

재할당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만약 변경할 수 없는 값이라면 이는 변수가 아니라 상수(constant)라 부른다.

 

함수 호이스팅

더보기

위에서 function 키워드로 선언한 모든 식별자도 호이스팅이 된다고 했는데,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질까?

먼저 함수가 정의되는 방식 네 가지를 살펴보자.

//1. 함수 선언문
//함수 이름 생략 불가능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2. 함수 표현식
// 함수 이름 생략 가능
var add = function(x, y) {
  return x + y
}
// 함수 이름 작성 시,
// var add = function plus(x, y) {
//   return x + y
// }

// 3. Function 생성자 함수
var add = new Function('x', 'y', 'return x+ y')

// 4. 화살표 함수
var add = (x, y) => x + y

위에서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의 호이스팅 결과를 먼저 보자.

 

// 함수 참조
console.dir(add) // output: f add(x, y)
console.dir(sub) // output: undefined

// 함수 호출
console.log(add(2, 5)) // output: 7
console.log(sub(2, 5)) // output: Uncaught TypeError: sub is not a function

//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표현식
var sub = function(x, y) {
  return x + y
}

 

함수 선언문의 경우, 런타임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먼저 실행되어, 함수 자체를 호이스팅 시킬 수 있다.

반면, 함수 표현식은 위에서 봤던 변수 호이스팅과 같이 런타임 이전에 해당 값을 undefined로 초기화만 시키고, 런타임에서 해당 함수 표현식이 할당되어 그때 객체가 된다.

스코프(scope)

는 식별자(ex.변수명,함수명,클래스명 등)의 유효범위를 뜻하며 선언된 위치에 따라 유효범위가 달라진다.

전역에 선언된 변수, 전역 스코프

지역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다.

 

전역변수 : 어디에서든지 참조가 가능한 값

지역변수 : 함수몸체내부를 말한다.  자신의 지역스코프와 그 하위 지역스코프에서 유효하다.

 

 

var, let, const의 차이

var 문제점 

  • 변수 중복 선언 가능, 예기치 못한 값을 반환할 수 있다.
  • 함수 레벨 스코프로 인해 함수 외부에서 선언한 변수는 모두 전역 변수로 된다.
  •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반환한다

1. 변수 중복 선언 불가

(1) let

let 키워드로는 변수 중복 선언이 불가하지만, 재할당은 가능하다.

 

더보기
let name = 'kmj'
console.log(name) // output: kmj

let name = 'howdy' // output: Uncaught SyntaxError: Identifier 'name' has already been declared

name = 'howdy'
console.log(name) // output: howdy

 

(2) const

const가 let과 다른 점이 있다면, 반드시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const name; // output: Uncaught SyntaxError: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
const name = 'kmj'

const도 let과 마찬가지로 재선언이 불가하며, 더 나아가 재할당도 불가하다. 재할당의 경우, 원시 값은 불가능하지만, 객체는 가능하다.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 않는다.

// 원시값의 재할당
const name = 'kmj'
name = 'howdy' // output: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 객체의 재할당
const name = {
  eng: 'kmj',
}
name.eng = 'howdy'

console.log(name) // output: { eng: "howdy" }

2. 블록 레벨 스코프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두 코드 블록(ex. 함수, if, for, while, try/catch 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위 var 키워드로 예를 들었던 것을 그대로 가져와 바꾸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let a = 1

if (true) {
  let a = 5
}

console.log(a) // output: 1

var 키워드로 선언한 경우 5가 나왔지만, let 키워드로 선언한 경우 if 문 안에 있는 것은 지역 스코프를 가져 전역에서 console을 찍었을 경우, 전역에 있는 a가 결과 값으로 출력된다. (const 키워드도 let 키워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3. 변수 호이스팅

(1) let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즉, 런타임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선언 단계가 먼저 실행되지만, 초기화 단계가 실행되지 않았을 때 해당 변수에 접근하려고 하면 참조 에러가 뜬다.

let도 호이스팅하지만 변수에 접근할 수 없다,쓸수 없다고 경고창떠요..

console.log(name) // output: Uncaught ReferenceError: name is not defined

let name = 'kmj'

따라서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일시적 사각지대(Temporal Dead Zone: TDZ) 구간에 존재한다.

 

(2) const

const 키워드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동시에 진행된다.

console.log(name) // output: Uncaught ReferenceError: Cannot access 'name' before initialization

const name = 'kmj'

let 키워드로 선언한 경우, 런타임 이전에 선언이 되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이미 존재하지만 초기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name is not defined라는 문구가 떴다. 하지만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경우,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지만 런타임 이전에는 실행될 수 없다. 따라서 초기화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Cannot access 'name' before initialization 에러 문구가 뜬다.

정리

기본적으로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따라서, var 키워드 보다는 let과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며, 변경하지 않는 값(상수)이라면 let 보다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