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odejs 는 

chrome v8 javascrpit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런타임이다.

 

(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는 환경"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다른 환경에서도 실행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다른 프로그램에 내장하여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과 함께 필요한 라이브러리, 모듈, api 등을 포함하는 것이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다. 

)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와 달리 nodejs 는 파일 시스템,네트워크 등과 같은

서버 사이드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 사이드 웹 개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비동기식 I/O, 이벤트 기반 처리 모델 등을 활용해 높은 성능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노드js는 npm이라는 패키지 매니저를 제공한다. node package manager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 모듀르 프레임워크 등의 다양한 패키지를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I/O(Input/Output)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때,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차단(blocking)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동기식 I/O(Asynchronous I/O)가 등장했습니다.)

 

+

express는 

노드Js를 위한 웹 프레임워크이다. 간결하고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

노드js의 http 모듈을 기반으로하며, 

http 요청

라우팅 및 미들웨어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1. 라우팅: HTTP 요청의 URL을 해당하는 처리기(콜백 함수)에 매핑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URL에 대한 요청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2. 미들웨어: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실행되는 작업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청 헤더의 유효성을 검사하거나 로깅을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라우팅 및 오류 처리 논리를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3. HTTP 요청 및 응답: Express는 HTTP 요청 및 응답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요청 본문을 구문 분석하거나 특정 상태 코드로 응답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4. 뷰 엔진: Express는 다양한 뷰 엔진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HTML 및 CSS와 같은 마크업 언어로 페이지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뷰 엔진으로는 Pug, EJS, Handlebars 등이 있습니다.

 

728x90
728x90

오늘도 감사한 블로그선생님들

https://gamsungcoding.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Linux-%ED%8C%A8%ED%82%A4%EC%A7%80-%EA%B4%80%EB%A6%AC%ED%95%98%EA%B8%B0

 

[Linux] 리눅스(Linux) 패키지 관리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Package Management)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패키지 관리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일을 말한다. 소프트웨어는 소

gamsungcoding.tistory.com

 

 

패키지 관리(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삭제하는 일 의미함) 방법

배포형태 소스코드의 형태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 집파일 같은 거
-리눅스는 tar이라는 확장자 많이 씀 이런 거로 배포
바이너리 패키지 형태
-버전성과 의존성 같은 메타정보까지 포함되어있는 거

리눅스 배포 판에 따라 서로 다른 패키지 형식을 지원한다

-Debian 계열

-Redbian 계열

-openSUSE 계열

 

 

 
패키지는 저장소(repository)에 저장되어 있으며, HTTP 혹은 FTP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나 공유 라이브러리 등을 필요로 하는 관계를 패키지 간의 의존성(dependency)라고 부른다. 의존성을 해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주요 역할이다.

Ubuntu에서는 /var/cache/apt/archives 디렉터리에 다양한 .deb 파일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선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다음 두 유형의 패키지 관리 도구가 사용된다
 저수준/고수준(의존성 해결) 패키지 관리 도구

 

  저수준 고수준
-Debian 계열 dpkg
- .deb패키지의 설치와 삭제 담당
apt-get/aptitude
-Redbian 계열 rpm yum
-openSUSE 계열
rpm zypper

 

dpkg 사용법

dpkg --help

dpkg -i 설치패키지명.deb  //패키지 설치

dpkg -l //소문자 엘l 써서 설치된 패키지 나열

dpkg -l 설치패키지명 //설치됐는지 확인 

dpkg -r 설치된패키지 //삭제

 

////수업시간에 minicom깔았다가 삭제해보기 한거///

sudo apt-get -d install minicom
cd /var/cache/apt/archives/
dpkg -i minicom_2.7.1-1.1_amd64.deb
dpkg -l
dpkg -r minicom
 sudo dpkg -P minicom 완전삭제

 

apt-get / apt-cache의 경우 패키지 repository는 /etc/apt/sources.list 에 명시되어 있다

test@ubuntu:~$ sudo cat /etc/apt/sources.list

/etc/apt/sources.list 파일에 명시된 패키지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패키지 유형(deb 혹은 deb-src), 저장소 URL, Debian 버전 정보, 카테고리를 명시한다. 패키지 repository 리스트의 업데이트는 다음 명령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 sudo apt-get update
or
$ sudo apt update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