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참고로 나는 이 두 에러가 스벅의 부실한 와이파이 때문이었음.. 

응아니고 mariadb 실행안해서였음요!!  기존에 쓰던 mysql는 초기설정으로 자동실행되게 설정해놓은 거라 마리아디비는 쓸라면 실행해줘야됐음!!!!!! ()

 

ConnectionError [SequelizeConnectionError]: connect ETIMEDOUT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2)   

 

 


+자동실행되는 설정

출처:  https://codecoco.tistory.com/category

 


db연결하는 법 

mysql과 같음 이 코드 mysql연결하는거 보고 한거임(시퀄라이즈가 다른 sql데이터베이스들도 호환가능해서)

출처는 책임 | Node.js 교과서 | 조현영 p.315

 

 

 

package.json에 npm start하기 위해 넣기

start 노드몬 앱 넣기

시작할거를 main에 app.js로 

{
  "name": "4th-project-yunminblock",
  "version": "1.0.0",
  "description": "소윤이 보아라",
  "main": "app.js",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start": "nodemon app"
  },
  "author": "",
  "license": "ISC",
  "dependencies": {
    "express": "^4.17.2",
    "morgan": "^1.10.0",
    "mysql2": "^2.3.3",
    "nunjucks": "^3.2.3",
    "sequelize": "^6.13.0",
    "sequelize-cli": "^6.3.0",
  },
  "devDependencies": {
    "nodemon": "^2.0.15"
  }
}

 

시퀄라이즈에 필요한 모듈패키지설치

npm i express morgan nunjucks sequelize sequelize-cli mysql2

npm i -D nodemon

 

 

설치 완료 후

 

npx sequelize init

 

하면 

config, models, migrations, seeders폴더가 생성됨

models폴더 안에는 index.js가 있음

 

몇개는 지금 블록체인중이라서 넣은거라 안따라해도 됨

index.js 를 이렇게 수정고우

const Sequelize = require("sequelize");
const env =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const config = require(__dirname + "/../config/config.json")[env];
const db = {};

//기존
const sequelize = new Sequelize(
  config.database,
  config.username,
  config.password,
  config
);

db.sequelize = sequelize;

module.exports = db;

 

이제 시퀄라이즈 통해 express앱과 mysql연결할거임

app.js 파일 만들고 안에 코드 넣기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morgan = require("morgan");
const nunjucks = require("nunjucks");

const { sequelize } = require("./models");

const app = express();
app.set("port", process.env.PORT || 3307);
app.set("view engine", "html");
nunjucks.configure("views", {
  express: app,
  watch: true,
});

sequelize
  .sync({ force: false })
  .then(() => {
    console.log("데이터베이스 연결성공");
  })
  .catch((err) => {
    console.log(err);
  });

app.use(morgan("dev"));
app.use(express.static(path.join(__dirname, "public")));
app.use(express.json());

app.use(express.urlencoded({ extended: false }));

app.use((req, res, next) => {
  const error = new Error(`${req.method} ${req.url} 라우터가 없습니다.`);
  error.status = 404;
  next(error);
});

app.use((err, req, res, next) => {
  res.locals.message = err.message;
  res.locals.error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err : {};
  res.status(err.status || 500);
  res.render("error");
});

app.listen(app.get("port"), () => {
  console.log(app.get("port"), "번 포트에서 대기중");
});

마리아db포트가 3307로 되어 있어서 이렇게 했는데

사실 상관없는거같긴함 (서버는 계속 헷갈리는데 db서버가 3307포트인건 알겠고 여기서 넣는 포트는 아마 localhost:로 화면에 띄워주는 포트라고 이해함요..네.. )

여기서 3001로 바꿔도 잘됨 config에 port주소가 3307로 잘들어가 있기만 하면 문제없는듯 그거는 마리아db연결용 이건 보여주는포트용으로이해햇음

 

 

이제 중요한거.

config 내용임!!!

 

나는 마리아 디비쓰니까 그 유저네임이랑 그 비번 그 host로 적어줘야 한다

마리아 디비의 port랑

그래서 이렇게 했다

{
  "development": {
    "username": "mariatest",
    "password": "1234",
    "database": "mariadb",
    "host": "localhost",
    "dialect": "mysql",
    "port": "3307"
  },
  "test": {
    "username": "mariatest",
    "password": "1234",
    "database": "database_test",
    "host": "0.0.0.0",
    "dialect": "mysql"
  },
  "production": {
    "username": "mariatest",
    "password": "1234",
    "database": "database_production",
    "host": "0.0.0.0",
    "dialect": "mysql"
  }
}

아마 두세번째 애들은 상관없을듯 혹시나 해서 저렇게 넣어둔거임

 

 

 

이제 npm start하면 끝!!!

 


 

 

사실 위에도 말했지만 나는 연결안된다고 에러떴었음

ConnectionError [SequelizeConnectionError]: connect ETIMEDOUT
    at ConnectionManager.connect

 

암튼 이거 몰라서 mariadb들어가서 확인해보려는데 접근이 안됨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2)

 

 

sudo service mysql restart

이것도 해보고 계속 안되다가 

+아냐 이게 실행이야 이거 하니까 된거임!!

+

 

 

sudo mysql -u root -p

로 하니까 들어가짐

 

들어가서 문제 있나 확인함

 

흠... config랑 비교해봄 

user mariatest 인지 host localhost로 되어있나..

 

npm start했을 때 db없다길래 

npx sequelize db:create

로 생성하고

실행

npm start

 

 

안에도 잘있군

 

얏호

 

 

 

https://velog.io/@pier101/Linux-wsl-%ED%99%98%EA%B2%BD%EC%97%90%EC%84%9C-%EB%A1%9C%EA%B7%B8%EC%9D%B8%ED%9A%8C%EC%9B%90%EA%B0%80%EC%9E%85-%EB%A7%8C%EB%93%A4%EA%B8%B0nginx

 

[Linux] wsl 환경에서 로그인,회원가입 만들기(+nginx)

wsl 환경에서 node.js+react(+nginx)를 활용해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면서 ubuntu 환경에서 서버를 어떻게 구축하는지에 대한 감을 익히고 서버 구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본 작업은 wsl상에서 서버를

velog.io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