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식문서 참조함. 

git 메뉴얼_이소윤 사원.pdf
2.34MB

 

728x90
728x90

https://gdtbgl93.tistory.com/63

 

Git push가 안되는 경우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로컬 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를 깃허브 사이트를 통해 만든 저장소로 push 하는 경우에 이런 메세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 1 2 3 4 5 6 7 8 C:\Users\gitProject>git push origin master To https://github.co..

gdtbgl93.tistory.com

 

 

push 안되길래 

pull먼저 해보려는데 다 안되길래

 

1
git pull origin 브런치명 --allow-unrelated-histories
cs

이거 하니까 되더라 

 


 

깃 데스크탑써서 큰 걱정은 없지만

 

 

 

 

 

이것도 한번 읽어봤다..

origin/branch 랑

branch 뭐가 다른지..

 

흠 대충 이해해서는 

branch는 내 로컬이고 

origin/branch가 깃헙에 넘어가는 거같음요..

 

"여기에서 branch_name은 로컬 분기인 반면, origin/branch_name은 원격 추적 분기입니다. 원점에 있는 해당 분기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하지만 다 이해하진 못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6125162/difference-between-origin-branch-name-and-branch-name

 

difference between origin/branch_name and branch_name?

for pushing to bitbucket. If I do: git push origin origin/branch_name my commits are not pushed. Total 0 (delta 0), reused 0 (delta 0) If I do git push origin branch_name my commits are pushed:

stackoverflow.com

 

728x90
728x90

먼저 꿀팁을 나눠준 학우들에게 감사합니다..

 

박수 짝짝짝

 

평소하던데로 

깃허브에서 

레포지토리 만들고 

주소 복사한다음에

 

깃데스크탑에 들어와서 

요기서 깃클론하고

 

작업할 때 

오픈 비주얼 코드 누르고 

터미널 켜져 있으면 

그걸로 하고 아니면 새 터미널들어가서 켜고

 

 

아래 보면

터미널이 원래 cmd로 되어있을건데

 

이걸 우분투로 바꿔주면

 

짠 

다가려놔서 안보이겠지만

wsl 작업창이 됐고요

/mnt 경로가 cd

커밋도 잘되고요

 

 

 

 

 

 

/mnt 경로는 바로

mnt

mnt는 mount의 약자 뜻을 가진 경로. 리눅스 프로그램에 기기의 탈부착으로 임시로 연결된 경로가 생기면 해당 경로에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의 AWS에는 연결된 외부 장치나 시스템이 없으므로 아무런 경로가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의 용량을 확장할 때나 WSL에서 윈도우 시스템을 인식할 때 해당 경로로 인식할 수가 있습니다.

//WSL에서의 윈도우 인식
///mnt 경로
c d wsl

여기서 C는 Windows에서의 C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출처: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10-18-linux-file-directory-system/

 

 

 

 

728x90
728x90

우분투 터미널 환경에서 깃허브 커밋하고 푸시할 때

1. 

git init

현재 폴더를 로컬 저장소로 지정

 

2.

.gitignore 파일 생성

모듈들이 커밋안되게 방지 

안에 (node_modules)

 

3.

git status

로컬 저장소의 현재상태확인

빨간 글씨체로 보여지는 파일목록은 추적되지 않은 파일들(Untracked files)

추적되지 않은 파일이란, 준비 영역이나 로컬 저장소에 한번이라도 add되거나 commit되지 않은 파일을 말한다.

반대로 추적 상태인 파일들(Tracked files)은 최소한 한번은 git add 명령을 통해 준비 영역에 포함되거나 commit을 통해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파일이다.

4.

git add .

git add는 특정 파일만 업로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git add "파일명"



 

5. 로컬 저장소에 최종저장하는 단계

 git commit -m "메세지"

 

6. 로컬 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Git Repository 주소

*origin은 별칭이다.

 

7. 별칭내역을 확인

origin의 별칭으로 등록된 원격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git remote -v

 

 

8. 로컬 저장소의 파일들을 원격 저장소로 올린다.

 

git push origin master




 

 

이렇게 나옴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remote: Please see https://github.blog/2020-12-15-token-authentication-requirements-for-git-operations/ for more information.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github.com/jsoyun/blockchain.git/'

 

그래서 찾아보니까 

 

Settings / Developer settings/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 Token 설정

으로 들어가서

 

토큰 비번을 만들어서 

비번에 넣어주니까 되더라 

 

 

 

 

 

출처:

 

에러시 이거

https://hyeo-noo.tistory.com/184

 

[Mac] GitHub push token 오류 해결

Github 오류 7.29일 새벽 갑자기 git push가 안 되는 현상을 겪었다. 오류의 첫 줄이 무슨 말이냐면 Password 인증방식이 일시적으로 brownout(shutdown?)되었다. Password 대신에 personal access token을 사용..

hyeo-noo.tistory.com

https://shxrecord.tistory.com/179 [두-번째저장소]

https://codecoco.tistory.com/74?category=512233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