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데 나 안열리던데.. 다시 해볼게

 

 

sudo su -

mkdir 디렉토리

 

cd 디렉토리 

들어가서 

npm -v

node -v

있는지 확인

npm init

설치 

 

 

 

 

만듦

 

 

ls -al

안에 보니 

package.json

잘 깔렸음 

express 깔아줘

vi server.js

해서 안에 내용 적어주고 

cat으로 확인

 

 

이렇게 적었음 

node로 실행

 

지금 작동되고 있는거 확인

 

중지하고 

ps -ef

로 지금 돌아가고 있는거 확인하는데 안뜨네 server.js가...

원래 이렇게 떠야함

 

 

 

 

 

 

죽였다가 

노드로 다시킨다는 거 같음

 

 

kill 할때 뒤에 숫자는 pid인거 알겠는데

-9는 뭘까??(찾아보니까 잘안나와서 모르겠는데 옵션인듯)

 

 

포트 설정해줘야함.

 

 

제어판

시스템 및 보안(보안 및 유지 관리)

윈도우 방화벽

고급설정

 

걍 방화벽 검색해서 고급설정으로 들어가는게 빠름,,

 

인바운드규칙

인바운드 규칙에 

오른쪽 새규칙 누르면

 

포트 3000 넣기

 

 

 

 

다음에

도메인 뭐시기는 3개다 체크된 상태로 넘어가

이름 설정하면 끝

 

 

이게 나랑 

같은 네트워크 공유하는 사람끼리 

확인할 수 있게 하는거래

 

 

내 아이피 주소

cmd창에서 

ipconfig

로 검색

 

ipv4주소 복붙해서

 

아이피주소:3000

하면 나옴

 

오 뜬다..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아까 계속 안됐던 이유는...

ip주소.3000 하고 있었음...

ip주소:3000 입니다 정신차려~ 

 

 

 

vi server.js

안에 수정해서 다시 해봄 된다.

사실 해볼때 수정사항이 반영이 안되는거임

 

이유는 이전에 한 node server.js가 죽지 않은게 여러 개 있어서 그랬음

 

다죽여

방금한거 까지 죽이고

다시 켜

(내가 이해한거 맞지?)

 

그러면 위에처럼 바뀐거 짠 켜짐

 

 

728x90
728x90
개념적고 밑에 내가 해본 거 적어보겠음.
tar 아카이브란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담고 있는 하나의 파일. 

아카이브를 만드는 건 여러 개의 파일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압축안하고 걍 하나파일로 뭉쳐놓는거

 

 

옵션 c 는 create 새아카이브 만들기
v는 verbose 작업중인 파일이름표시해주는 옵션
f는 아카이브할 파일 이름을 지정     

//옵션여러개 사용시에 순서는 안 중요함

//cvf자체는 용량은 그대로. 용량줄여주고 싶으면 z

// 여기서 .tar.gz은 .tgz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그럼 줄여쓰면 안되나..?)

 

압축하기

tar cvf 아카이브이름.tar 압축할디렉토리

tar cvfz 아카이브이름.tar.bz2 압축할디렉토리

압축해체하기

tar xvf 아카이브이름.tar

tar xvfz 아카이브이름.tar.gz

tar xvfj 아카이브이름.tar.bz2

 

//압축해제옵션x (extract)

//압축하기와 마찬가지로 gzip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려면 z옵션추가, bzip2압축된파일은 j옵션추가해서 작업

 

 

원하는 파일만 골라서 압축하기

tar cvf 아카이브이름.tar *.pdf

//피디에프애들만 압축하겠다~~

원하는 애들만 압축해체하기

tar xvf 아카이브이름.tar --wildcards '*.pdf'

 

 

특정파일을 제외하고 아카이브 만들기

tar -cvf 아카이브이름.tar 압축할디렉토리 --exclude='필요없는파일' --exclude="또는디렉토리이름'

//나는 이거해볼때 필요없는 파일까지만 해서 제외해서 해봄. 뒤에 다중으로 제외할 애들 추가할 수 있다는 거같음 

 

---

 

참고로 해볼때 디렉토리 안에 아무것도 없이 했더니

bz2압축풀 때 bz2파일 아니라고 xvfj 안됐음 xvf는 됐지만

 

 

먼저 파일들 담을 디렉토리(폴더)를 만들었음

mkdir 폴더명

만든 디렉토리 들어가서 

cd selftest/

(cd / 이렇게 해서 계속안됐음..)

 

압축해볼 텍스트파일, pdf파일 여러개 만듦

touch

밖으로 나와서 selftests로 이름지어서 압축했음 

결과

selftest 디렉토리 들어가서  pdf끼리 압축해봤음

이제 부분압축해제 해보려고 

원래 pdf파일들 먼저 삭제해줌 

헷갈리게 selftest_pdf를 삭제하지 않았구나

tar xvf selftest_pdf2.tar --wildcards '*pdf'

로 pdf압축해제됨 

 

흠...잘안되는거같다

제외하고 싶은 애가 제외안되는 듯

 

 

tar tvf newselftest.tar

얘가 아카이브 내용볼수있다길래 해봤는데 아무것도 안나옴

728x90
728x90

curl은 커맨드라인에서 url형태의 리소스를 요청/응답할 수 있는 도구다

전체 메뉴얼은 커맨드 라인에서 

man curl을 입력해서 볼 수 있음   

// curl사이트의 문서페이지 여기서도 확인가능 http://curl.haxx.se/docs/manpage.html

 

 

1. 응답을 파일에 쓰기

curl http://example.com/resource > foo.txt

옵션없이 호출하는 curl커맨드는 표준 출력으로 응답을 출력하는데 

위와 같이 출력을 리다이렉트해서 파일에 쓸 수 있다

 

수업시간에 말에 의하면,

이 명령어를 써서 나오는 결과물을 이 foo에 저장한다는 거

하이푼?과 비슷.하이픈은 결과값이 전달되는 거고 얘는 파일형태로 전달되는거 (하이픈이 그(-)하이픈이냐? )

 

2. 파일명으로 저장하기

curl -o foo.txt http://example.com/foo.txt

작은 영문o

-o옵션으로 리소스의 파일명을 지정해 다운할 수 있다.

curl -O http://example.com/foo.txt

대문자경우 리소스 파일명 그대로 사용

 

3.여러 파일 다운로드 받기

curl -O http://example.com/foo[0-9].txt

foo0부터 foo9까지 텍스트파일 다운

curl -O http://example.com/foo-[a-z][0-9].txt

대괄호 []는 여러 번 조합할 수 있고, 위 코드는 foo-a0.txt 부터 foo-z9.txt 까지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curl -O http://example.com/{foo,bar,baz}.txt
중괄호{}를 써서 위와 같이 호출할 수도 있고, foo.txt, bar.txt, baz.txt 를 다운로드 받는다.
파일 이름 여러 개 지정해서 다운 받는 것임
 
근데 이 3번째꺼 중괄호로 여러 개 쓰는 게 안됐음 
여러 개를 for문으로 다운 방법도 있음

  files="foo bar baz"
  for name in files
     > do curl -O "http://example.com/${name}.txt"
     > done


     -> 하지만 이렇게 하면 files.txt만 받아지게 되고, for name in foo bar baz 다음에 do done을 하면 세개가 저장됨.
     -> 근데 for name in $files 라고 하면 변수 설정이 먹혀서 잘 작동됨.

(for문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41)

 

 

이렇게 하면 됨

 

 
 
아니면 다른 방법 (이건 하다 말았지만)
vi 이건 있으면 수정하게 만들거나 없으면 새로 만드는 거임
cat 내용보여주기 
밑에 똑같이 for문 써주고
이거 쓰고 (참고로 위에 고친것처럼 고쳐주고)
esc
:wq
하고 실행 ./test_download.sh
했는데 안됨
권한주자
초록색으로 변함 실행고우

 

728x90
728x90

wget

인터넷에서 파일을 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에서 단일 파일 받아 현재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방법

여러 복잡한 다운로드 상황 거의 다 제어 가능

 

단일 파일 다운

wget 다운로드링크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이름 지정안하면 마지막 슬레시가 이름으로 저장됨

>영어 대문자 오야~

wget -O 지정할이름 링크

 

다운로드 속도 지정

wget --limit-rate=속도 다운링크

 

wget –limit-rate=200k DOWNLOAD-URL

 

이어받기

wget -c 다운링크 

 

백그라운드에서 다운로드하기

대용량파일 받을 때 사용하는 옵션

wget -b http://www.openss7.org/repos/tarballs/strx25-0.9.2.1.tar.bz2
Continuing in background, pid 29401.
Output will be written to ‘wget-log’.

백에서 하고 있음

ps -ef는 프로세스 확인하는거 참고로 소문자임

 

아까 백그라운드 뭐시기 깐거 wget-log로 깔렸음

ls-al로 확인해봄

cat wget-log 로 치니까 나옴

728x90
728x90

둘다 웹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linux커맨드임

 

공통점

-http,https,ftp프로토콜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커맨드라인툴임

-http post request를 지원함( 즉 웹사이트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음

-쿠키 지원

 

차이점

wget 

-간단, 직관적- 라이브러리 별도로 지원하지 않거든

-재귀적으로 다운로드 즉,페이지에 있는 모든 내용이나 ftp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한 번에 그대로 복사해옴

curl

-라이브러리로 더 강력한 기능 추가하고 사용할 수 있음

-양방향임(wget은 일반 http post request만 지원함

-ssl 지원함

-gzip 압축 및 해지를 지원함 

- stdin 또는 stdout 의 pipe 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unix 스타일의 방식도 지원함 (뭔소리인지 모르겠음)

-스탠다드 인 스탠다드 아웃.

유닉스 스타일의 방식을 지원하기도 하고. 컬은 양방향으로 통신, 지원가능함

이외 다른 기능필요할때는 이거

 

출처요:

https://wooono.tistory.com/279

 

 

 

wget

인터넷에서 파일을 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에서 단일 파일 받아 현재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방법

여러 복잡한 다운로드 상황 거의 다 제어 가능

wget 다운로드링크

728x90
728x90

오늘도 감사한 블로그선생님들

https://gamsungcoding.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Linux-%ED%8C%A8%ED%82%A4%EC%A7%80-%EA%B4%80%EB%A6%AC%ED%95%98%EA%B8%B0

 

[Linux] 리눅스(Linux) 패키지 관리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Package Management)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패키지 관리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일을 말한다. 소프트웨어는 소

gamsungcoding.tistory.com

 

 

패키지 관리(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삭제하는 일 의미함) 방법

배포형태 소스코드의 형태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 집파일 같은 거
-리눅스는 tar이라는 확장자 많이 씀 이런 거로 배포
바이너리 패키지 형태
-버전성과 의존성 같은 메타정보까지 포함되어있는 거

리눅스 배포 판에 따라 서로 다른 패키지 형식을 지원한다

-Debian 계열

-Redbian 계열

-openSUSE 계열

 

 

 
패키지는 저장소(repository)에 저장되어 있으며, HTTP 혹은 FTP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하나의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나 공유 라이브러리 등을 필요로 하는 관계를 패키지 간의 의존성(dependency)라고 부른다. 의존성을 해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주요 역할이다.

Ubuntu에서는 /var/cache/apt/archives 디렉터리에 다양한 .deb 파일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선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다음 두 유형의 패키지 관리 도구가 사용된다
 저수준/고수준(의존성 해결) 패키지 관리 도구

 

  저수준 고수준
-Debian 계열 dpkg
- .deb패키지의 설치와 삭제 담당
apt-get/aptitude
-Redbian 계열 rpm yum
-openSUSE 계열
rpm zypper

 

dpkg 사용법

dpkg --help

dpkg -i 설치패키지명.deb  //패키지 설치

dpkg -l //소문자 엘l 써서 설치된 패키지 나열

dpkg -l 설치패키지명 //설치됐는지 확인 

dpkg -r 설치된패키지 //삭제

 

////수업시간에 minicom깔았다가 삭제해보기 한거///

sudo apt-get -d install minicom
cd /var/cache/apt/archives/
dpkg -i minicom_2.7.1-1.1_amd64.deb
dpkg -l
dpkg -r minicom
 sudo dpkg -P minicom 완전삭제

 

apt-get / apt-cache의 경우 패키지 repository는 /etc/apt/sources.list 에 명시되어 있다

test@ubuntu:~$ sudo cat /etc/apt/sources.list

/etc/apt/sources.list 파일에 명시된 패키지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패키지 유형(deb 혹은 deb-src), 저장소 URL, Debian 버전 정보, 카테고리를 명시한다. 패키지 repository 리스트의 업데이트는 다음 명령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 sudo apt-get update
or
$ sudo apt update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