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Unhandled Runtime Error

Error: Objects are not valid as a React child (found: object with keys {findFirstTransaction}). If you meant to render a collection of children, use an array instead.

 

 

 

const check = () =>{

const { loading, error, data } = useQuery(CHECK_WITHDRAW, {
    variables: {
    
    },
  })


return (
<>{data}</>
)



}

data가 객체여서 뜨는 에러!!!

 

JSON.stringfy(data, undefined, 2)

 

하면 잘뜨는거 확인할 수 있음!

 

usequery는 렌더될 때 바로 실행돼서

버튼 할때만 하는 useLazyquery로 수정해야겠다...

둘의 차이는 자꾸 까먹으니까 정리해라 네네~

 

 

https://velog.io/@leehyunho2001/React-Query%EC%97%90%EC%84%9C-%EB%B2%84%ED%8A%BC-%ED%81%B4%EB%A6%AD%EC%8B%9C%EC%97%90-%EB%8D%B0%EC%9D%B4%ED%84%B0%EB%A5%BC-%EC%9A%94%EC%B2%AD%ED%95%98%EB%8A%94-%EB%B0%A9%EB%B2%95-feat.-useQuery

 

728x90
728x90

https://steemit.com/blockchain/@etainclub/blockchain-5

 

 

 

초보자를 위한 Blockchain 강좌 #5 디지털 서명 — Steemit

이전 토픽에서 거래에 대해서 개인키로 서명을 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을 바로 디지털 서명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개인키(Priviate Key), 공개키(Public Key), 주소(Address)의

steemit.com

 

 

 

https://organicmedialab.com/2014/02/20/bitcoin-addresses-transactions-and-wallets/

 

비트코인 주소, 거래, 그리고 지갑 (Bitcoin Addresses, Transactions, & Wallets)

<이전글: 비트코인 채굴과 선순환 구조> 비트코인 채굴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 거래와 이의 익명성, 투명성, 그리고 안전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트코인을 사용하는데는 비트코인

organicmedialab.com

https://steemit.com/kr/@dangdang/4wpjmg

 

[블록체인 스터디] 공개키와 개인키라는 것은 무엇일까?? — Steemit

드디어 블록체인 관련 첫 포스팅을 시작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그동안에 혼자서 블록체인 공부할 때는, 제가 남에게 설명하는 과정이 없어서 '아 이 정도면 이해 됐다' 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했

steemit.com

https://www.kiri.or.kr/pdf/%EC%97%B0%EA%B5%AC%EC%9E%90%EB%A3%8C/%EC%97%B0%EA%B5%AC%EB%B3%B4%EA%B3%A0%EC%84%9C/nre2018-24_02.pdf

https://llshl.tistory.com/54

 

[블록체인] 트랜잭션의 검증(비대칭 암호화 방식)

블록체인에 대해 전반적인 그림을 그리기 위해 조사하며 얻은 얕은 지식입니다. 1. 왜 검증이 필요한가?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곧 데이터베이스다. 근데 이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사람이 접근하여

llshl.tistory.com

https://iforint.tistory.com/167#:~:text=%EB%B8%94%EB%A1%9D%EC%B2%B4%EC%9D%B8%EC%9D%80%20%EA%B3%B5%EA%B0%9C%ED%82%A4,%EA%B1%B0%EB%9E%98%20%EB%82%B4%EC%97%AD%EC%9D%84%20%EC%A6%9D%EB%AA%85%ED%95%A9%EB%8B%88%EB%8B%A4.&text=%EC%9D%B4%EB%8A%94%20%EC%9E%90%EC%8B%A0%EC%9D%B4%20%EC%95%84%EB%8B%88%EB%A9%B4%20%ED%95%B4%EB%8B%B9,%EC%9D%B5%EB%AA%85%EC%84%B1%EC%9D%84%20%EB%B3%B4%EC%9E%A5%ED%95%A9%EB%8B%88%EB%8B%A4.

 

[개념] 블록체인이란? :: 공개키 암호화, 해시 함수, 합의, 채굴, 작업 증명, 지분 증명, 머클 트리

블록체인은 떠오르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형태가 아니라 분산된 형태로 작동함으로서 여러 보안적인 측면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주의할 점은 암호 화폐, 즉 비트

iforint.tistory.com

https://www.banksalad.com/contents/%EC%89%BD%EA%B2%8C-%EC%84%A4%EB%AA%85%ED%95%98%EB%8A%94-%EB%B8%94%EB%A1%9D%EC%B2%B4%EC%9D%B8-%EB%B9%84%ED%8A%B8%EC%BD%94%EC%9D%B8-%EA%B1%B0%EB%9E%98%EA%B0%80-%EC%9D%B4%EB%A3%A8%EC%96%B4%EC%A7%80%EB%8A%94-%EA%B3%BC%EC%A0%95-L7bWb

 

쉽게 설명하는 블록체인 : 비트코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 | 뱅크샐러드

 

www.banksalad.com

https://medium.com/@kimjunyong/%EB%B8%94%EB%A1%9D%EC%B2%B4%EC%9D%B8%EC%9D%84-%EC%95%8C%EA%B8%B0-%EC%A0%84%EC%97%90-%EC%95%8C%EC%95%84%EC%95%BC-%ED%95%A0-%EC%95%94%ED%98%B8%ED%95%99-87fd8cecd455

 

블록체인을 알기 전에 알아야 할 “암호학”

안녕하십니까 블록체인 알려주는 남자 Ryan KIM 입니다.

medium.com

 

728x90
728x90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자인 노드들이 거래내역이 담긴 장부를 공유합니다. 

이처럼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중앙거래자가 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송금이 이뤄질 수 있을까요?

 

 

블록체인 거래가 이뤄지는 과정은 이와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nbsp;[시사 IT용어] 가상화폐의 주역, 블록체인 기술이란?

 

1. A가 B에게 송금하기 위한 거래 요청을 보냅니다.

2. 해당 거래정보는 온라인 상에서 블록에 저장됩니다. 

3. 해당 블록정보는 네트워크 구성원 모두에게 전파됩니다. 

4. 구성원들은 해당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승인합니다. 

5. 참여자 과반수의 데이터 내역과 일치한 거래는 승인되고, 승인된 거래는 새로운 블록으로 기존의 블록체인에 연결됩니다. 또한 그 사본이 만들어져 각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분산 저장됩니다. 

6. A에서 B로 실제 자금이 이동됩니다. 

 

 

공개된 거래내역을 중간에 다른 구성원이 빼돌리려는 위험이 없을까요? 

이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여기에는 바로 비대칭 암호학이 있습니다. 

잠그는 키와 여는 키를 동일하게 생각하지만 비대칭 암호학에서는 각각의 역할을 하는 키가 따로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유효한 디지털 서명이 필요합니다. 이 서명은 개인키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계좌를 사용하기 위한 본인 서명은 여기서는 수학적 검증을 뜻합니다. 구성원들에게 원본 거래내역과 개인키로 암호화한 거래내역을 전파하는데, 이때 개인키로 암호화하는 것을 서명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되는 키로 은행의 계좌번호와 비슷합니다. 이처럼 공개키는 모두에게 보여져도 괜찮지만 무작위 숫자로 만들어진 개인키는 지갑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비밀리에 간직해야합니다.

 

 

 

공개키와 개인키를 통해 블록체인 거래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미지 출처:&nbsp;비트코인 주소, 거래, 그리고 지갑 (Bitcoin Addresses, Transactions, & Wallets)

1. A가 B에게 송금하기 위한 거래내역(트랜잭션)을 A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서명한 후, A의 공개키와 원본 거래내역과 함께 구성원들에게 전파합니다. (거래내역은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암호화합니다.이를 통해 원문의 길이와 상관없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빠른 검증이 가능합니다.)

2. 구성원들은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A의 공개키를 이용해 원본과 비교하며 확인합니다.

(공개키로 열어 확인한 해시값과 원본의 해시값을 비교합니다.)

A의 서명을 통해 전송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전 참여자들의 데이터 내역과 일치하는 올바른 장부인지를 확인합니다.

3. 검증을 통해 이전 블록에 이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B에게 송금이 완료됩니다. B는 개인키를 통해 지갑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인키 소유자들은 거래를 위해 쉽게 공개키를 만들어 전세계와 공유합니다. 개인키를 만드는 타원곡선 곱셈법은 암호 사용자들이 '트랩 도어'함수라고 부르는 함수의 일종으로, 한 방향으로의 계산은 쉽지만 반대방향으로의 계산은 불가능합니다. 이 수학적 트릭은 자금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서명을 위조 불가능하고 안전한 것으로 만들어줍니다. 

 

만약 개인키를 분실한 경우 지갑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꼼꼼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공개키와 주소는 같은 것일까요?

타원곡선 곱셈법을 사용해 개인키에서 공개키를 만들고 공개키에서 해시함수를 이용해 주소를 만듭니다.

단방향 암호화로 주소에서 공개키로 공개키에서 개인키로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처럼 누구나 모든 거래를 확인할 수 있고 입증하는 동시에, 개인간의 거래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으로  블록체인 거래시 비대칭 암호학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블록체인 거래를 돕는 공개키와 개인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reactnative 설치 (xcode깔려있어야함.)

yarn ios 로 빌드 되는지 확인 !

 

 

빌드 fail경우 

cd ios

pod deintegrate (pods폴더 삭제)

pod cache clean --all (캐시 삭제)

(혹시 안되면 pod install --repo-update)

xcode preference에 들어가서 derived 폴더 안에 삭제. 

이거는 pod install 하면 다시 생김! 

(뭔말인지 모르겠으면 밑에 링크 참고)

 

yarn 

yarn ios

 

 

 

이제 

 

firebase project만들기

https://firebase.google.com/

 

Firebase

Firebase는 고품질 앱을 빠르게 개발하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Google의 모바일 플랫폼입니다.

firebase.google.com

 

Add project

 

프로젝트 이름 넣고 

디폴트 내 계정으로 시작!

 

 

 

다음부터는 쭉 따라하면 되는데 

번들id는 xcode에서 가져와서 붙여넣기 하면 된다. 

(xcode에서 원하는 프로젝트파일 열고, 왼쪽의 프로젝트 파일 누르면 이거 뜸

General 들어가서 

Bundle Identifier 의 값을 복붙하면 됨다. )

 

 

 GoogleService-Info.plist 파일을 

firebase 프로젝트 만드는 곳에서 다운받아서

프로젝트 안에 넣는다 (위치는 거기서 알려줌.)

 

 

그다음에 

AppDelegate.m

에 

 

#import <Firebase.h>

와 

[FIRApp configure];

만 추가!

 

[FIRApp configure]; 이거는 (Bool)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하는 함수로 보이는 거 하단에 {} 넣어줌. 

위치는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설명란에 있는데 각자 코드에 맞게 넣으면 된다..

 

 

특이점은 

appPackage를 다운받지 않았다. 

다음단계에서 링크로 들어가서 analytics다운 받는게 있는데 그걸 하지 않고

 

yarn add @react-native-firebase/app

yarn add @react-native-firebase/analytics

 

로 추가했다. (여기에 이미있다고함..)

 

 

아 그리고 analytics는 app과 같은 버전으로 맞춰줘야한다!

 

 

그리고 firebase.json파일을 보면

 

// <project-root>/firebase.json
{
  "react-native": {
    "analytics_auto_collection_enabled": false
  }
}

 

 

false로 꺼져있다.

잘은 모르겠지만 이게  GDPR compliance 정책상으로 꺼져있다고 한다.

앱실행될때 자동으로 집계하게끔 하는게 꺼져있는 것이다. 

대신 이벤트처리하듯

홈화면 들어갈 때 메서드를 이용해서 집계하는 방법을 쓰면 된다.

 

 

To re-enable analytics (e.g. once you have the users consent), call the setAnalyticsCollectionEnabled method:

import { firebase } from '@react-native-firebase/analytics';
// ...
await firebase.analytics().setAnalyticsCollectionEnabled(true);

https://rnfirebase.io/analytics/usage

 

Analytics | React Native Firebase

Copyright © 2017-2020 Invertase Limited. Except as otherwise noted, the content of this pag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 and code samples are licensed under the Apache 2.0 License. Some partial documentation, under the

rnfirebase.io

 

 

프로젝트 예시 홈화면 들어갈때 추가되도록 했다. 

  const activateAnalytics = async () => {
    await firebase.analytics().setAnalyticsCollectionEnabled(true)
  }
  useEffect(() => {
    activateAnalytics()
  }, [])

 

 

 

 

 

 

 

 

 

 

에러 해결방법 참고한 것들

https://developer.apple.com/forums/thread/703823

 

Xcode 13.3 spits "Requested but di… | Apple Developer Forums

MrtnFbg's answer inspired me to read more about redirections of streams. So I read about Linux STDOUT STDERR. In this specific case when I run this command, there is an output and there are some errors. Since I ran this command on terminal and on terminal

developer.apple.com

https://positiveko-til.vercel.app/til/react-native/error65.html

 

에러 해결🔑 error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 | Positiveko

에러 해결🔑 error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가장 유명한 에러가 아닐까.. (아니 나참.. 리네 = 에러 픽스 90 + 개발 10 같다.. 후) 이

positiveko-til.vercel.app

 

 

 

 

 

https://rnfirebase.io/analytics/usage

 

Analytics | React Native Firebase

Copyright © 2017-2020 Invertase Limited. Except as otherwise noted, the content of this pag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 and code samples are licensed under the Apache 2.0 License. Some partial documentation, under the

rnfirebase.io

 

728x90
728x90

(이해는 다 못했지만 ppt보면서 받아적어봄..)

 

 

 

모듈러 블록체인 modular Blockchain

노드의 합의, 실행, 데이터 기능을 분리 

 

합의  Gasper, Narwhal

safe permissionless consensus

 

 

실행

- 오프체인(에서 실행하고 결과만 옾체인에 저장.)

-대체로 순차적 실행하지만 트랜잭션 병렬 실행 시도. EIP-2930 명시하는 방식. 트랜잭션이 충돌하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음, 

-파이프라인 ,

-FuelVM, 트랙엔진 개선하려는 시도. 

 

데이터

시간이 지나면서 노드 돌리는게 부담이 됨. 

1. 무상태 실행

기본적으로 잔액확인, 즉 트랜잭션 검증해야함. 그상태 검증을 다 가져해야하는데 아예 보내는 사람이 같이 넘기면 어떨까? 내가 백원이상 가지고 있다는 증거를 넘기는. 전체 상태를 보지 않아도. 기존 머클트리의 역할. 

2. 온체인, 오프체인 선택 volition

3. 상태만기

필요한 데이터 쌓이는거 방지로 끊어주고 다시 시작

p2p네트워크 통해서는 1년내 데이터만 요청할 수 있게 하자 제안. 

4. 데이터 가용성 레이더 data availability layer

저장하는거 전문적으로 하는 체인에 하자. 

 

 

 

 

 

가장 큰 문제 저장공간 증가

굉장히 많은 I/O가 필요하고 너무 큰 디스크 필요. 

 

비탈릭의 아이디어. bitco

이더리움에 트랜잭션 저장하기에는 이더리움 너무 비싸 . 비트코인 캐시에 저장하는거 어떠냐. 

 

현재는 실행 - 데이터 저장 - 검증을 모두 하나의 이더리움 체인 내에서 처리하고 있다. 이를 모놀리틱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확장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모듈형 블록체인은 실행 / 데이터 저장 / 검증을 모두 분리해서 실행하는 체인을 의미한다. 해당 과정을 분리할 경우 탈중앙성과 보안 그리고 확장성 이 세가지 블록체인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출처: https://muritzy.tistory.com/3039 [Eddy Lab:티스토리]

 

(-> 여기 블로그 글이 정리 잘되어있다. )

 

 

동작

리드 솔로몬 부호.

-인코딩으로 뻥튀기

 

 

전파

-저장 분배. 증명을 통해 확인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면 데이터를 리드솔로몬 인코딩한 조각으로 나누고 DA풀 노드들에게 분배 

DA 풀노드 는 조각을 저장했다는 증명을 생성

일정개수 이상 증명이 모이면 데이터를 저장했다고 알림

예) 오프체인 롤업 운영자가 블록 혹은 트랜잭션 ㄴ애용을 저장

회수

-원본을 

데이터가 ㄱ필요하면 DA라이트 노드가 DA풀노드들에게 조각을 요청

일정 애수 이상 조각이 모이면 디코딩하여 원본 데이터 복원 가능

나중에 롤업블록 내용을 확인가능 data availability데이터 가용성 오라클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는 데이터를 해석하지 않고 저장만,

여러 블록체인이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를 공유가능.

해당 블록체인과 관계된 데이터만 조회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조회하고 신뢰도를 안려주는 API제공

DA라이트 노드는 애초에 데이터 인코딩이 잘못된 경우 사기 증명을 만들어야하고 노드들이 해당조각을 저장하는지 확인해야한다. 

 

 

polygon avail

2D 리드 솔로몬 부호 + kzg커미트먼트

현재 테스트넷 

벨리데이터 노드,DA풀노드 maticnet

 

celestia

머클트리 노드마다 자식노드 범위를 지정함. 

2D 리드 솔로몬 부호 + 네임스페이스 머클트리 NMT

코스모스 SDK로 구현

벨리데이터 노드

브리지 노드, 연결해주는 브릿지 역할 함. 

celestiaorg/optimint 코스모스 기반 옵티미스틱 롤업 샘플

 

 

 

기존 스토리지 블록체인과 유사, storj sia와 특히 비슷

차이점, 

스토리지 규모가 페타바이트 단위

파일 경로 단위로 접근 

복제 증명 강조

암호화로 파일보안

지속적 가용성 유지. 

 

 

ethereum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나.

롤업중심 로드맵과 데이터 샤딩(트랜잭션 실행할 데이터만 제공하는 역할)

롤업은 태랜잭션 calldata영역에 롤업 트랜잭션 내용을 줄여서 기록

과거 이스탄불 하드포크 때 calldata에 정보를 기록할 때 필요한 가스 하락.  ELP-2028

2022년 초 Danksharding제안 ,이더리움 연구자 이름임

ELP-4844는 calldata보다 17배 정도 가스가 저렴한 데이터 덩어리 blob추가 

2D리드 솔로몬 부호 +KZG커미트 먼트 

데이터 덩어리를 온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읽을 수 없어. 

 

 

<polygonZK>

폴리곤 방향성

 

폴리곤 

확장성 솔루션, 

디앱을 위해서. 근데 원하는게 다 다름. 

프로토콜이나 유저들이 원하는데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곤 확장성 솔루션 

 

ethereum

polygon Zero

polygon pos

avail - 데이터 가용성을위한 솔루션

miden

 

폴리곤 더이상 사이드체인이라 불리기 애매하다 

확장성 솔루션 scalability Aggregator

 

 

polygon 

 

ZKrollup

스타크, 스나크..

처음으로 영지식증명을 블록체인에 증명

 

polygon nightfall 

polygon ID 자신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자신특성 증명할 수 있는 서비스. 

 

 

Polygon Hermez 2.0

zkEVM 

하나의 디앱은 하나의 네트워크밖에 못올림. 

 

브릿지 사고, 

네트워크가 분리

 

디앱별로 분리된다고 생각하면 지금 겪고 있는ㄴ 문제가 극단화.

 

zk란 프로폴을 만들 수 밖에 없는 기능적인

증명을 만드는 것. 제대로 동작했는지 확인하는 체크리스트로 함. 이걸 증명증거로 만들어서 스마트 컨트렉트에 보냄. 

프라이빗키맞는지 

잔액이 100보다 많은지

보낸금액이랑 똑같은지. 

 

 

nft는 잔액이 별로 안중요함. 새롭게 발행된 nft가 내 주소에 잘 있는지 잘 맵핑되어있는지 확인. 

체크리스트 만들면 못바꿈. 

네트워크를 새로 만들어야함. 

증명을 만드는 시스템때문에 하나의 디앱별로 하나의 네트워크밖에 못올림. 

 

 

이더리움 네트워크처럼 여러개 하고 싶어서 ZKrollup에서 EVM으로 넘어오고 있음 

zk evm은 연산이 실행됐는지만 확인함. 

 

 

 

 

모든 상태 정보들을 우리가 만든 폴리곤 솔루션에 저장하면 좀 더 수수료가 저렴해라고 주장하고 있음

폴리곤이 모듈로 블록체인으로 바꾸면서 연산, 저장은 서로 상호작용해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polygon Miden

general purpose, stark

 

 

evm이랑 vm이랑 달라. 

 

스나카가 더 개발자 친환경적. 

스나크를 선택한 프로젝트는 효율성. 

스페셜 라이즈드- 각 기능별로 따로 만드는..

 

 

 

 

polygon zero

증명을 만드는 코드안에 증명을 검증하는 코드도 같이 만듦

layer1 - 연산할 때 마다 비용든다. 

폴리곤 제로는 증명시스템을 만든다. 

두번째 첫번째 프로펄이 올바르다는 내용

세번째, 첫번째 두번째 트랜잭션을 ... 확인 

재귀적인 시스ㅁ템 연ㅇ루. 

 

 

polygon nightfall

기업내에서 거래도 있나봐

 

기업이 블록체인 기술가져와서 만든다 할때 어느정도 속이나는게 

이더리움처럼 기업용에서 요구하

 

 

블록체인에서 영지식증명 쓸때 

1. 개인정보 보호

2. 유효성 검증

 

위해. 

 

Layer2에서 만든 건 다 layer1에 저장되고 있음

 

 

https://muritzy.tistory.com/3039

 

이더리움의 구원자, 폴리곤(Polygon) 모듈러 블록체인?

Markets by TradingView " data-ke-type="html">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출처 : https://xangle.io/research/6267b8999d2628adb3128e9a?utm_source=ddengle&utm_medium=organic_community&utm_campa..

muritzy.tistory.com

 

https://blog.polygon.technology/polygon-avail-unlocking-the-modular-blockchain-future/

 

https://kr.beincrypto.com/learn-kr/%EC%98%B5%ED%8B%B0%EB%AF%B8%EC%A6%98optimism%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옵티미즘(Optimism)이란 무엇인가 - BeinCrypto Korea

옵티미즘 이더리움은 트랜잭션이 계산되는 레이어2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다음에 트랜잭션 정보는 레이어1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옵티미즘은 일반적인 이더

kr.beincrypto.com

https://polygon.technology/solutions/polygon-zero/

 

 

https://consensys.net/blog/developers/introduction-to-zk-snarks/

 

Introduction to zk-SNARKS | ConsenSys

An overview of zero-knowledge proofs and how to integrate zk-SNARKs into Ethereum.

consensys.net

 

 

 

 

 

 

 

 

728x90
728x90

Can't use Watchman: "Operation not permitted"

 

Can't use Watchman: "Operation not permitted"

Since updating Watchman recently (with Homebrew) I can no longer use it to watch projects. I get { "version": "2022.05.30.00", "error": "std::__1::system_...

stackoverflow.com

watchman shutdown-server

로 해결

 

 

 

에러가 No bundle URL로 빨갛게 떴는데 

 

아래링크처럼

rm ios/build

로 삭제하고 

xcode에서 삭제해도 그대로 에러창 떴다. 

 

metro로 새로 뜨는 창에 

watchman 에러가 떠서 검색해보았다.

watchman 서버를 끄고 다시 실행하니까 잘 켜졌다. 

 

 

 

 

 

https://juzero-space.tistory.com/261

 

[React Native 에러 해결] IOS, No bundle URL present

1. 에러 상황 이유는 모르겠으나 No bundle URL present 에러가 발생했다. 아마 이것저것 만지다보니 나도 모르게 잘못 건드린거같다 ㅠ 2. 해결방법 해결방법이 간단하다. 다행.. 첫번째 방법) ios/build

juzero-space.tistory.com

 

 

728x90

+ Recent posts